목차
전세 사기 또는 매매사기를 예방하려면?
안녕하세요! 네벨 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부동산 사기 예방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이렇게 쉬운데 왜 부동산 투자를 하지 않았을까:내집 마련부터 수익률을 높이는 투자법까지 한
COUPANG
www.coupang.com
흔히 부동산에서 영업용 멘트로
"이 물건 정말 좋은 물건이에요. 먼저 연락드렸어요"
"고민하다가 놓쳐요"
압박을 주는 멘트를 날리기도 합니다.
물론 맞는 말일 수도 있지만 부동산이라는 고가의 자산을 움직이려면 신중하고 또 신중해야 합니다.
주식할때와 마찬가지로, 관심있게 보고있던 종목이 매수하지 못한채 날라간다면,
다른 비슷한 종목을 찾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접근 하듯,
부동산에서도 그 물건을 놓치더라도 비슷한 물건을 또 찾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접근해야 현명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mEFms/btrK0Ma5vBr/oSzN20YlU9Hg4SPEtymuY1/img.jpg)
부동산 거래의 원칙 !
일반적으로 부동산 매매계약은 다음의 3단계 절차로 진행되는데요.
1단계 : 계약금 - 통상매매가의 10%, 채권관계, 일방해약가능
2단계: 중도금 - 통상매매가의 60%~70%, 채권관계, 이행착수 단계, 일방해약 불가
3단계 : 잔금 - 통상매매가의 30%~20%, 물권관계, 동시이행관계, 일방해약 불가
물론 거래 당사자간의 약정으로 얼마든지 따로 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거래 관행입니다.
계약금을 입금하기 전까지는 최대한 꼼꼼하게 확인을 해야하는데요. 매수인이 중도금 및 잔금을 지불하지 않을 때 위약벌로서 계약금이 매도인에게 몰수된다는 취지로 매매계약서를 작성한다면 매수의 위 약시 계약금은 매도인에게 돌아가고 채무불이행으로 손해배상도 매도인이 청구할 수 있습니다. 즉, 이런 종류의 계약금은 매도인측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래의 원칙을 참고해서 안전하게 거래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1. 내눈으로 확인해보기
부동산거래의 기본은 매물을 본인이 직접 확인하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직방이나 여러 플랫폼으로 사진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큰 금액이 오고 가는 부동산을 확인하지도 않고 사는 일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 직거래보다 중개인
요즘은 중개수수료를 절감하기 위해 카페나 플랫폼을 통해서 직거래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물론 비용을 절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돈을 아끼려다가 더 큰 손해를 입는경우가 있습니다.
흔히 중고나라에서 일어나는 빈번한 사고를 확장판으로 만나실수 있게 됩니다.
가급적 공인중개사를 통해서 거래하시는 편이 낫습니다.
3. 등기부등본 체크
등기부등본은 계약금, 중도금, 잔금 총 세번에 걸쳐서 확인해야합니다.
같은 서류를 여러 번 확인하는 이유는 부동산과 관련된 권리 관계가 수시로 변동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입금 전에는 반드시 당일 발금 받은 등기부등본으로 확인 절차를 진행해야합니다.
등기부등본을 볼 때 가장 먼저 현재소유자가 누구인지 확인하고 가압류, 가처분, 가등기, 경매 등의 내용 중 하나라도 있다면 해당 부분이 말소되기 전에는 매매든 임차든 계약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특히 전세 계약을 맺을 때는 주택담보대출 등으로 근저당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소유권자가 대출을 갚지 못하면 경매로 넘어갈 수 있으므로 채권채고액 등을 깊게 살펴보셔야 합니다.
4. 계약서는 미리확인
계약 당일 부동산에가면 정신 없이 설명만 듣다가 도장을 찍고 오는데요.
그래서 계약 전 미리 계약서를 사진으로 전달 받아 확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계약기간은 짧게
자금융통에 문제가 없다면 계약부터 잔금까지의 기간은 되도록 줄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기간이 길어질수록 매도인이 주택 담보대출이나 이중계약, 혹은 채무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계약 기간은 최대 두 달이 넘지 않도록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ANOUQ/btrKU7VBCD3/aC1jVoxgkc4rJbPLixeNCK/img.jpg)
6.계약은 직접
간혹 도장과 서류를 중개인에게 등기로 보내고 위임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일면식도 없는
중개인에게 계약을 맡기지는 말아야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큰돈이 오고가기 때문에 단 한번의 실수로 큰 손실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늘 보수적으로 행동하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분안에 실거래가조회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이용하기 (3) | 2023.01.11 |
---|---|
대출금리, 무료 이자 계산사이트 추천 best3 (2) | 2023.01.10 |
[초호화 내부]호날두가 살고있는 킹덤 센터는 얼마나 좋을까? (3) | 2023.01.10 |
[#2] 부동산 경매란? (0) | 2022.08.21 |
[#1] 인사드립니다. "네벨 사무소“ 입니다. (0) | 2022.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