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말, '핼러윈 데이'에 '블루문'·'미니문' 동시에 뜬다
안녕하세요 ^^
이번주 '핼러윈 데이'인 주말 저녁 하늘에는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보름달 '블루문'이 떠오릅니다.
30일 한국천문연구원, 국립과천과학관 등에 따르면 19년 주기로 핼러윈데이에 블루문을 볼 수 있는 데 31일 바로 그날인데요
블루문은 달의 공전주기가 29.5일로 양력의 한 달 보다 조금 짧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달은 29.5일을 주기로 위상이 변하는데 태양의 공전과 비교했을 때 매년 11일 정도의 차이가 생기는데요 이 때문에 19년에 7번꼴로 보름달이 한 번 더 뜨게 된다고 합니다.
이럴 경우 한 계절에 4번의 보름달이 뜰 수 있으며 이때 3번째 뜨는 보름달을 ‘블루문‘이라고 부릅니다.
최근에는 편의상 같은 달에 두 번 보름달이 뜰 때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블루문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블루문은 평균적으로 2년 8개월마다 발생하며, 10월 31일 핼러윈데이에 블루문이 관측되는 건 19년마다 일어난다.
따라서 핼러윈과 블루문이 겹치는 다음 시점은 2039년 10월 31일이 되는데요 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네요
블루문이란 단어 상 ‘파란색 달’을 떠올리게 되는데 실제로는 푸른색을 띠지는 않습니다. 다만 산불, 화산 폭발 등으로 발생한 먼지가 공중에 퍼지면서 빛의 산란을 통해 푸르게 보이기도 합니다.
천문연은 “블루문은 천문학의 공식 용어는 아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블루문의 어원은 한 달에 한 번 보름달이 떠야 하는 데 추가로 한 번 더 떴다는 의미에서 ‘배신자들(belewe moon)라고 부르던 게, 어감상 비슷한 ’블루문‘으로 바뀐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양에서는 보름달이 풍요를 상징하지만, 서양에서는 불길한 징조로 여깁니다.
한편, 국립과천과학관은 핼러윈 당일 오후 8시부터 천체관측소 망원경을 통해 ‘블루문 랜선 관측회’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핼러윈 캐릭터 분장을 한 출연자들과 블루문과 할로윈데이의 의미와 기원을 설명합니다.
달 탐사 전문가의 우리나라 달탐사 현황과 계획, 세계 각국의 달탐사 현황에 관한 인터뷰 영상도 방송할 계획입니다.
또 고감도 카메라를 활용해 천문해설사가 가을철 별자리 해설도 할 계획입니다.
조재일 과천과학관 천문학 박사는 “블루문과 핼러윈이 과학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코로나19 시대에 집에서 가족들과 블루문과 핼러윈의 의미를 되새기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두순, 출소후 술 못먹고 외출 제한한다 (0) | 2020.10.30 |
---|---|
오늘부터 여행상품 30% 할인·외식 4회차에 1만원 환급?? (1) | 2020.10.30 |
북한, 서해 피격 사건 다시 해명하며 南 '보수 세력'에 경고?? (0) | 2020.10.30 |
박훈 변호사, '룸살롱 술접대 의혹' (1) | 2020.10.30 |
바이든 "군대철수 협박 안해 …동맹 강화 중점" (0) | 2020.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