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해외주식

투자원칙 및 사업보고서의 중요성,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를 읽고

by [네벨] Nevel 2023. 3. 3.

목차

    반응형


    https://m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93245391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안녕하세요 네벨입니다.

    차근차근 미국 주식관련 서적을 읽으며
    배우는 즐거움이 늘어난다.

    뉴욕주민님의 저서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를 읽고 있는 중이다.

    월가에서 검증한 다섯 가지 투자원칙

    1. '고위험 고수익'에 내포된 위험과 보상 체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손절매(Stop Loss) 전략을 세운다.

    2. 투자 기간이 길수록 자산 수익률 리스크는 낮아진다.

    3. 정액분할투자DCA: Dollar-Cost Averaging 를
    한다. 시장 타이밍을 맞히는 건 불 가능하다.

    4. 포트폴리오 조정Portfolio Rebalancing 으로 리스크를 낮춘다. 이는 수익률 증 가로 이어지기도 한다.

    5. 투자 원칙을 지킨다. 반드시!

    DCA( 정액분할매수)
    주기적으로 정해진 금액을 투자하는 방법

    VA (가치분할매수)
    내가 목표하는 자금규모와 기간을 먼저 정한 후 역산해서 정기적으로 투자 해야 하는 금액이 정해지는 방법


    기업은 사업보고서를 주기적으로 작성하여 제출해야할 의무가 있다.

    사업보고서에는 여러종류가 있는데 여기서는 우리가 많이 보는 보고서에 대해서 알아보았던 시간이었습니다.



    137p를 읽으면서
    사업보고서의 중요함도 깨달았다..


    사업보고서의 종류


    10-K 가장 많은 것을 알려주는 연간 보고서

    10-Q 분기별 보고서

    8-K 중요한 사안이 발생할 경우 제출하는 보고서

    아래 사이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https://www.sec.gov/edgar/searchedgar/companysearch

    SEC.gov | EDGAR | Company Filings

    Modified: July 21, 2022

    www.sec.gov


    미국 주식시장은 기본적으로 공개시장에서 시장 참여자의 알 권리에 상 당한 보호 장치를 갖추고 있다.

    SEC 규정 아래 기업은 투자자가 반드시 알 아야 하는 중요한 사안이 발생할 경우 이를 SEC에 등록해야 하는 8-K 보고 서에 공시할 의무가 있다.

    공식 분기 실적 보고서 10-0나 연간 보고서10-K 제 출 기간이 아닐 때 기업의 영업활동이나 재무 상황과 관련해 주요 변경 사항 이 생기면 즉시 8-K 공시로 공개시장에 알리는 것이다.

    먼저 8-K 보고로 업 데이트 상황을 실시간 공표하고 추후 실적 보고서에 반영한다.

    말 그대로 회 사에 무슨 일이 생겼을 때 수시로,
    예고 없이 발표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서 살펴봐야 하는 공시임을 배웠다.


    만약 파산에 관련한 보고서가
    올라왔다면 어찌 할까? 궁금했는데..
    자세히 설명해 주셨다.

    미국 에는 두 종류의 파산이 있는데,
    하나는 챕터 11이고 다른 하나는 챕터 7이다.

    챕터 7 파산은 기업 자체를 정리한 뒤 잔여 자산을 채권자에게 모두 분배해 기업을 청산하는 것을 말한다.

    챕터 11 파산은  '파산 보호 신청 Bankruptoy Protection Filing‘으로 기업의 자산과 채무를 구조조정해 회생 기회를 주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한다..

    우선순위에 따른 자본구조

    • 선순위 담보부 채권Senior Secured Debt
    • 선순위 채권 Senior Unsecured Debt
    • 후순위 채권 Subordinated Debt
    • 전환사채 Convertible Bonds 등 메자닌Mezzanine 금융상품
    • 우선주 Preferred Equity
    • 보통주 Common Equity

    파산시 상환우선권도 이 순서를 따른다.
    보다시피, 일반 주식을 보유한 보통주 투자자는 가장 마지막 단계에 있다.

    선순위에 있는 많은 주체에게 마지막 한 푼까지 모두 갚고, 즉 최소한 원금상환이라도 하고 나서야 (남은 게 있으면 )일반 주주에게 돌아가는 구조다.

    문제는 파산 신 청 단계까지 온 기업은 대부분 주주에게 돌려줄 게 남아 있는 경우가 없다는 점이다.

    채권자에게도 저우 변제할 판에 주주까지 챙길 여유가 있을 리 없다.

    간단히 말해 주주들의 몫은 0고

    이론상 주식가치는 0이 되는 것을 통해서

    OTC거래소로 이동 했을 경우 증권사에 전화해서
    매도 주문 하면 된다.

    너무 좋은책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